|  
 양호  |  
 
 빠른 수준  |  
 
 발달선별검사 결과 각 발달영역별 발달수준이 빠른 편일 가능성이 높은 영유아  |  
|  
 또래 수준  |  
 
 발달선별검사 결과 또래수준에 해당하며, 정상발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영유 아  |  
|
|  
 주의  |  
 
 추적검사 요망  |  
 
 해당영역의 발달기술을 충분히 습득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영유아 다음 검진시기 이전에 해당 영역의 발달과정을 촉진하고 면밀히 관찰 후 재검사 실시  |  
|  
 정밀 검사 필요  |  
 
 심화평가 권고  |  
 
 영유아의 발달에 반드시 이상이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, 발달선별검사결과 발달 지연이 의심되므로 정밀한 평가를 위해 발달전문의의 진단이 필요  |  
|  
 1단계 (어린이집) 관찰과 발견  |  
 
 - 만 3,4,5세반 아동 혹은 <충북형유아긍정행동발달상담> 지원에 대한 부모 동의 확인 - 아동에 대한 발달 파악 - 관찰 및 부모 면담을 통해 아동의 기질 관찰 - 교사(보호자)는 ①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(K-DST)확인 ②온라인 발달체크리스트점검 - 아동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(보호자)는 지원의뢰서 작성  |  
|  
 ☞  |  
 
 지원의뢰서를 충북육아종합지원센터로 제출  |  
|  
 2단계 (충북육아종합지원센터) 선별검사 및 아동의 원내 행동관찰 실시  |  
 
 - 선별검사 및 아동 행동 및 상호작용 관찰 - 상담전문요원은 선별검사에 대한 보호자동의 여부 확인, 선별검사 도구를 보호자에게 제공, 검사결과와 아동관찰결과를 토대로 보호자 및 교사에게 안내  |  
||
|  
 ☞  |  
 
 느린 적응  |  
 
 아동발달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 |  
 
 맞춤형 발달지원에 대한 안내 - 교수지원/행동지원 - 심리,정서지원  |  
|  
 ☞  |  
 
 경계성 장애위 험  |  
 
 아동의 사회-정서, 인지, 행동적 문 제가 방치될 경우 발달지연 가능성 이 시사됨  |  
 
 - 상담 및 수준별 개입 - 맞춤형 발달지원 안내 (교수 지원/행동지원)  |  
|   
 도구명  |  
  
 대상 연령  |  
  
 소요 시간  |  
  
 문항구성  |  
 
 검사도구  |  
|   
 한국판 아동발달 검사 K-CDI  |  
  
 15개월 ~ 72개월  |  
  
 30분~ 40분  |  
  
 - 부모관찰을 통하여 아동의 체계적인 발달을 확인 - 사회성, 자조행동, 대근육·소근육운동, 표현언어, 언어이해, 글자와 숫자, 전체 발달을 진단 - 청각능력, 건강, 성장, 행동상의 문제 등가 같은 현재 아동의 발달에 의심되 는 증상과 문제를 체크  |  
 
 https://inpsyt.co.kr/  |  
|   
 한국판 정서-행동 평가 K-BASC-2  |  
  
 만2세 ~ 5세  |  
  
 10분 ~ 20분  |  
  
 -긍정적 성격특성, 사회성기술, 적응탄 력성에 대한 포괄적 정보를 제공 -주의집중문제, 과잉행동, 우울 혹은 불 안 등의 구체적인 문제행동을 평가  |  
 
 https://inpsyt.co.kr/  |  
|   
 유아용 기질 및 성격검사 JTCI  |  
  
 36개월 ~ 취학전 아동  |  
  
 10분 ~ 15분  |  
  
 -개인의 기질과 성격을 구분하여 측정 할 수 있음. -아동의 사고방식, 감정양식, 행동패턴, 대인관계양상, 선호경향 등을 이해  |  
 
 
  |  
|   
 성인 기질 및 성격검사 TCI  |  
  
 성인  |  
  
 20분~ 25분  |  
 
 https://maumsarang.kr  |  
|
|   
 부모양육 태도검사  |  
  
 성인  |  
  
 10분  |  
  
 -양육태도 수준별 특징과 양육태도 개 선을 위한 지침을 제시 -지지표현, 합리적설명,성취압력, 간섭, 처벌, 감독,과잉기대,비일관성 수준을 파악  |  
 
 https://www.guidance.c o.kr/  |